본문 바로가기

참고 정보15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권장섭취량 노년의 장수 관리에 특히 중요한 단백질 섭취.단백질 생체이용률이 높은 식품다음은 100g당 단백질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 기준으로 평가한 식품 목록입니다.식품 단백질 생체이용률 (%)유청 단백질 분리(Whey Protein Isolate)100%달걀 흰자100%우유 단백질 분리(Milk Protein Isolate)91%생선(연어)83%닭가슴살79%소고기(살코기)74%칠면조 가슴살73%돼지고기(살코기 돼지 갈비)73%두부64%그릭 요거트59%코티지 치즈(Cottage Cheese)57%검은콩49%렌틸콩48%병아리콩(Chickpeas)46%퀴노아(Quinoa)45%대두(콩, Soybeans)42%땅콩42%아몬드34%현미34%통밀 빵25%위 생체이용률(%)은 각 식품에서 섭취한 단백질이 몸.. 2025. 3. 5.
음식에서 얻는 비타민, 미네랄의 생체이용율 비타민 및 식품원에서의 생체이용률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란?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은 섭취한 영양소가 체내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흡수되고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음식이나 보충제에서 섭취한 영양소가 위장관에서 흡수되어 혈류로 이동한 후, 신체에서 실제로 활용될 수 있는 비율을 의미함.동일한 양의 영양소를 섭취하더라도 식품의 형태, 가공 및 조리 방법, 영양소 간의 상호작용, 개인의 소화 및 대사 능력 등에 따라 흡수율이 달라질 수 있음.예를 들어 비타민 C는 열과 빛에 의해 쉽게 파괴되어 조리 시 생체이용률이 감소할 수 있음.지용성 비타민(A, D, E, K)은 지방과 함께 섭취하면 흡수율이 증가함. 비타민 A생체이용률: 동물성 식품(간, 달걀, 유제품)에서 제공.. 2025. 3. 5.
미네랄 함유 음식, 기능, 섭취량 필수 미네랄 13가지(칼슘부터 크롬까지)의 성인 기준 하루 권장 섭취량(RDA, AI)입니다.(성인 남성/여성 기준, 단위: mg 또는 µg)  표 아래에는 부족할때 나타나는 증상과 음식을 통해 얻는 미네랄의 종류가 있습니다.  미네랄하루 권장 섭취량비고남성여성칼슘1,000 mg1,000 mg (50세 이상: 1,200 mg)뼈 건강철분8 mg18 mg (50세 이상: 8 mg)여성은 생리로 인해 필요량 증가마그네슘400-420 mg310-320 mg근육과 신경 기능 조절인700 mg700 mg뼈와 치아 건강칼륨 (포타슘)3,400 mg2,600 mg나트륨 조절, 혈압 관리나트륨 (소금)1,500 mg (상한: 2,300 mg)1,500 mg (상한: 2,300 mg)과다 섭취 시 고혈압 위험 증가아연 .. 2025. 3. 5.
각 비타민 음식, 기능, 섭취량 필수 비타민 13가지의 성인 기준 하루 권장 섭취량(RDA)입니다.표 아래에는 비타민별 음식 정보가 있습니다. 비타민비타민 하루 권장 섭취량 (RDA)주요 기능남성여성A900 µg RAE700 µg RAE시력 보호, 면역 기능B1 (티아민)1.2 mg1.1 mg에너지 대사B2 (리보플라빈)1.3 mg1.1 mg세포 에너지 생산B3 (니아신)16 mg NE14 mg NEDNA 수리, 피부 건강B5 (판토텐산)5 mg5 mg호르몬 합성, 에너지 생산B6 (피리독신)1.3 mg1.3 mg (50세 이상: 1.5 mg)신경 전달 물질 합성B7 (비오틴)30 µg30 µg모발, 피부, 손톱 건강B9 (엽산)400 µg400 µg (임신 시: 600 µg)세포 성장, 태아 신경관 발달B12 (코발아민)2.4 µg2.. 2025. 3. 5.
체질량지수 BMI를 확인해 보세요. https://www.kjfp.or.kr/journal/view.html?uid=1016&vmd=Full&utm_source=chatgpt.com&자신의 체질량 지수 BMI를 확인해 보세요.  BMI란 무엇인가?BMI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의 약자로, 일반적으로 BMI라고 불립니다. 이는 과체중 및 비만을 정의하는 도구로,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2025. 2. 28.
먹는데 있어서 할머니가 옳았다. 사람들은 언제 허기를 느끼고 왜 먹는가? 부족함을 느낄 때 먹는다. 음식이 부족할거라 믿을때 (미리 챙겨 먹어야 함)에너지가 부족할 때수면이 부족할 때무엇보다도 사랑, 소속감, 안전함이 부족할 때 먹는다.요즘은 수많은 TV, 매체 프로그램에 먹방으로 식욕을 자극한다.결국 우리가 먹는 이유를 따져 보면, → 신체적 필요를 벗어난 정신적, 심리적 허기  → 음식 산업, 미디어 산업의 끊임없는 식욕자극 → 무의식적으로 하게 되는 감정적 음식 섭취. 감정적 대리만족의 형태로 먹게 되는 음식 – 기쁘거나 슬프거나 스트레스 받을 때. 먹는 것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 But… 할머니의 지혜. (최첨단 바이오테크놀로지 식단)아래 과학자들의 연구를 잠깐 들여다 보자. Dr. Barry Sears – 영양이 주는 .. 2025. 2. 26.